2025년 임산부 혜택 총정리

출산율이 계속해서 떨어지면서 나라에서 임산부 및 육아 하는 엄마 아빠들을 위한 정책들을 많이 내놓고 있는데요.

오늘은 2025년에 임산부가 받을 수 있는 임산부 혜택을 총 정리해 보았어요^^
산부인과 외 일반 병원 진료비 할인,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등 생각보다 모르고 있던 혜택이 많이 있었어요. 끝까지 읽으시고 도움 되는 임산부 혜택 꼭 받으시길 바래요.

2025년 임산부 혜택

1. 엽산, 철분제 지급

엽산과 철분제를 지급 받을 수 있어요.

2. 표준모자보건수첩 지급

모자보건수첩이 지원돼요.

3. 임산부 KTX, SRT 할인

임산부는 KTX는 특실을 일반실 가격으로 이용하거나 일반실 40%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대상은 임산부와 임산부와 동행하는 보호자 1인까지 할인이 된답니다^^

SRT는 모든 객실 30%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기찻길을 달리고 있는 하얀색의 긴 기차

4. 국민행복카드 신청

국민행복카드는 나라에서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임산부에게 임신, 출산 시 드는 병원 진료비를 지원하기 위해 주는 돈이에요. 금액은 단태아 100만원, 쌍둥이 200만원이 지원된답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약국, 병원에서 사용이 가능해요.

5. 태동 검사비 환급

임신 후기가 되면 태동검사를 실시하게 되는데요. 24주 이상 자궁 수축이 없는 임산부에게 1번 보험 적용을 해주고 만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의 경우 태동검사 2회를 보험 적용 해줘요.

보통 첫 번째 태동검사 때는 병원에서 보험적용을 알아서 처리 해주는데 고령산모의 두 번째 태동검사 때는 병원에서 알아서 해주지 않는 곳도 있어서 태동검사 후 보험적용이 되었는지 확인 후 안 되었다면 병원에 이야기 하면 돼요^^

6. 태아 검진 시간 허용

임산부는 직장에 태아 정기 검진에 필요한 시간을 요청 할 수 있고 사업 주가 임금 삭감 없이 그 시간을 지원해 주는 제도예요.

이는 근로기준법에도 나와 있는 부분이지만 회사에서 지원하지 않는다고 해도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의 제재는 없어서 회사 재량에 따라 이용 여부가 나뉠 것 같아요.

  • 임신 28주까지 : 4주에 1번
  • 임신 20주-36주까지 : 2주에 1번
  • 임신 37주 이후 : 매주 1번

    보장 시간은 정해진 것은 없고 회사마다 달라서 2시간을 주는 곳, 1일 연차 사용을 주는 곳 등 다양해요.
    정확한 건 회사에 태아 검진 시간 허용이 되는지 확인 해 보시고 회사에서 허용하는 시간과 횟수를 확인하시는 게 정확해요.

7.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사업은 산모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이에요.

사업내용 : 지정된 온라인 몰에서 농산물을 구매해야 하고 지원되는 금액은 지자체별로 다르나 공통적으로 구매 금액의 20%는 본인이 부담해야 해요. 모든 산모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지자체 별로 선착순 또는 추첨을 통해 대상을 선정하고 있어요.

또한 전국 모든 시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은 아니라서 내가 살고 있는 지역구가 해당 되는지는 인터넷 검색 또는 시청 관할 부서에 전화해서 알아보시면 정확하게 알 수 있어요^^

방울토마토, 피망, 고추, 양상추 등 다양한 야채

8.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정부에서 출산 한 산모 가정에 산후 도우미를 파견해 산후 관리를 지원하는 사업이에요. 바우처를 제공하는 형태로 지원하고 있고 나라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는 기간과 발생하는 본인 부담금이 조금씩 달라져요.

  • 신청방법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복지로 사이트 또는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 할 수 있어요.

관련 문의는 : 국번없이 129번으로 전화하시면 됩니다.

한식이 담겨있는 4가지의 도시락통과 수저

9. 임산부 병원 진료비 할인

임신 중 병원 외래 진료 시 본인부담금의 20%를 감면해주는 혜택이예요.
이 혜택은 병원에서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병원에서 알아서 해주지 않아 병원 진료 시 본인이 임산부임을 이야기 하고 진료비를 감면 받을 수 있어요.

원무과 또는 수납하는 곳에서 건강보험 F015 코드를 입력해 주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병원은 일반 의원부터 종합병원까지 모두 해당된다고 해요.

10. 임신 중 근로 시간 단축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의 임산부는 하루 2시간의 근로 시간이 단축 가능하고 월급은 그대로 받을 수 있어요.

신청 방법은 회사에 임신 중 근로 시간 단축 신청하겠다고 전달 후 회사에서 제출 요청하는 서류들을 제출 하면 됩니다.

사업주가 이를 거부 할 시 5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임산부 혜택 한 번에 신청하는 법

정부24 홈페이지 -> 맘편한 임신 서비스를 통해 임산부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한 번에 신청 할 수도 있는데요. 만약 온라인 신청이 어렵다면 관할 주민 센터 또는 보건소에 신분증지참 후 방문하면 신청이 가능해요^^

맘편한 임신 서비스를 통해 한 번에 신청 할 수 있는 혜택은

  • KTX, SRT 할인
  • 엽산, 철분제 신청
  • 표준모자보건수첩 신청
  • 국민행복카드 신청- 국민행복카드는 맘편한 임신 서비스를 통해서도 신청 할 수 있고 개인적으로 카드를 만들 수도 있어요. 그런데 국민행복카드는 카드사 마다 현금을 페이백 해주거나 사은품을 주는 이벤트가 다 달라서 미즈톡톡, 맘스다이어리, 베베폼, 베팡몰 등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내가 원하는 혜택을 주는 카드를 만드는 게 조금이라도 혜택을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이에요.

    엽산과 철분제, 표준모자보건 수첩은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수령할 수도 있고 택배로 배송 받을 수 있어요. 단, 택배비는 본인 부담이랍니다.

전하는 말

오늘은 2025년 임산부 혜택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생각보다 지원되는 임산부 혜택이 많았어요^^ 오늘 알려드린 혜택 외에도 지자체 별로 임산부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나 혜택이 추가적으로 더 있으니 거주하고 있는 시청, 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어떤 혜택이 있는지 꼭 확인 해보시길 바래요^^

<추천하는 글>
태아보험 이거 모르고 들면 손해
임산부 KTX, SRT 30%이상 할인 받는 방법


연관된 글

댓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최신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