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수족구에 감염이 되면 갑자기 열이 나기도 하고 손과 발에 수포가 하나 둘 올라오기 시작해요. 수족구 바이러스는 보통 어린이집과 같은 기관이나 키즈카페 같은 아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전염이 되는데요.
아이가 수족구에 걸린 게 처음이라면 엄마아빠는 아는 것이 없어 당황스러워요. 저도 아이가 처음 수족구에 걸렸을 때 아는 것이 없어서 이것 저것 많이 찾아봤던 기억이 납니다.
오늘은 수족구가 뭔지, 아기 수족구 증상,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전파가 되는지, 치료방법 및 예방법까지 수족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모두 정리해두었어요. 하단에는 엄마아빠가 가장 궁금해 하는 내용들도 정리해 두었으니 꼭 같이 읽어보시길 바래요.!
1. 수족구 증상 및 감염경로
수족구는 한자로 손(手)발(足)구(口)를 뜻하는 것으로 손과 발과 입에 물집이 생기는 병을 말해요. 보통 5세 미만 아이들에게 잘 생기는 질환이며 여름 유행 전염성 질환이라 5월부터 시작해 7월까지 가장 많이 발생해요.
아기 수족구 증상
열이 나고 손과 발, 입안에 수포가 생겨요. 열은 없는 경우도 있고 미열이 나는 경우도 있고 고열이 나는 경우도 있어요. 열이 나면 보통 3-5일 정도 지속되고 수포는 일주일 정도 지나면 가라앉아요.
다른 증상으로는 간혹 구토나 설사를 하는 아이들도 있어요.
일주일 뒤 수족구 수포가 사라진 이후에는 피부 껍질이 벗겨지거나 심한 경우 손톱이나 발톱이 빠지는 경우도 있어요.
수포가 입안에 생기게 되면 아파서 아이가 음식을 잘 안 먹으려고 할 거예요. 그렇다고 굶길 수도 없고 아이도 배가 고프니 음식을 입에 넣는데 또 아파서 울고 이렇게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기가 여간 힘든 질환이에요.
감염경로
수족구 바이러스에 걸린 아이의 분변, 침, 콧물, 물집에서 나온 진물 등으로 감염이 될 수 있어요. 수족구 바이러스는 일반 물체에서도 살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걸린 아이가 만진 물건을 만지면 감염 될 수 있어요.
바이러스의 전염성이 가장 강한 기간은 7일-10일이고 이후에는 감염력이 점차 떨어진다고 해요.
2. 수족구 잠복기
감연된 환자와 접촉 한 후 3일에서 최대 10일까지 잠복기로 봐요. 잠복기에 드러나는 증상이 없어도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전염 될 수 있는 질환이에요.
수족구는 전염성이 굉장히 강하기 때문에 수포가 나을 때까지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갈 수 없고 가정 보육을 해야 해요.
3. 수족구 치료 방법
수족구는 안타깝게도 치료약이나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어요. 그래서 아이가 열이 많이 날 때는 해열제를 먹여 열을 내려주고 수포 때문에 심하게 가려워 할 때는 가려움을 완화시켜주는 연고를 처방 받아 발라주는 등 증상이 좋아질 때까지 아이를 잘 돌봐주는 방법 밖엔 없어요.
만약 아이가 입안의 수포 때문에 음식을 못 먹는다면 밥 먹기 30분 전에 해열 진통제를 먹여 입안의 통증이 조금 괜찮아졌을 때 밥을 먹이기도 하고 아이가 밥을 너무 못 먹어서 탈수가 온다면 입원을 하는 경우도 있어요.
4. 수족구 예방하는 방법
보통 접촉으로 인해 전염되기 때문에 손을 자주 씻는 게 중요하고 마스크를 잘 쓰고 다니는 것이 중요해요. 특히 손가락을 빠는 아이들은 부모님들이 더 신경 써주어야 해요.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알코올로는 죽지 않기 때문에 손은 꼭 비누나 세제를 사용해서 씻어야 하고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청소 할 때도 알코올 보다는 세제를 사용해서 관리하는 것이 도움 돼요.
Q&A
물집은 짜도 되나요?
물집의 진물로 인해 다른 가족이 감염 될 수 있기 때문에 물집은 짜지 않는 것이 좋아요. 꼭 짜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수포는 저절로 사라지게 된답니다.
언제 다시 어린이집에 갈 수 있나요?
수족구 진단을 받고 집에서 관리하다가 열이 떨어지고 수포가 가라앉으면 다시 병원에 방문해서 증상을 확인한 후에 등원이 가능하다는 소견서를 써주시면 이 소견서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제출하고 등원이 가능해요. 보통 수포가 가라앉기까지 대략 5-7일 정도 걸려요.
엄마 아빠도 옮을 수 있나요?
흔하진 않지만 어른들도 아이에게 옮을 수 있어요. 어른이 수족구에 걸리면 가볍게 지나가는 경우도 있고 아픈 증상이 있는 경우도 있어서 아이를 간호할 때는 손을 깨끗이 잘 씻고 전염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게 좋아요.
수족구에 뭘 먹이면 좋을까요?
수족구에 걸리면 입안, 목이 많이 아프기 때문에 음식을 먹이는 게 가장 힘들어요. 아이가 죽 같은 걸 먹을 수 있으면 죽이나 미음 종류를 먹이면 좋고 아이가 먹는걸 너무 힘들어한다면 시원한 음료나 아이스크림을 주면 먹는 아이들도 있어요. 시원한 음식들은 입안의 통증을 줄여주는데 약간의 도움이 되기도 해요.
전하는 말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리면 가장 힘든 부분이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거예요.
뭐라도 먹여보려고 이것 저것 줘보지만 음식이 들어가면 통증이 느껴지니 아이가 징징 거리기도 하고 짜증도 낼 거예요. 이걸 줘도 아프다고 울고 저걸 줘도 아프다고 하니 정말 환장할 노릇이예요. 그래도 가장 힘든 건 아이니까 잘 달래가며 일주일만 잘 버텨보자구요.!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정보>
아기 열 날 때 이거 꼭 알고 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