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지키는 백일해 정보 5가지

요즘 백일해가 유행하면서 최근 10년 간 백일해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한 명도 없었다가 올해 첫 사망자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는데요.
백일해는 특히나 성인보다 어린 영유아 아이들에게 치명적인 병이라 아이를 둔 엄마아빠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오늘은 백일해란 무엇이고, 감염경로, 예방하는 방법, 백일해 접종 유무 확인하는 방법까지 상세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백일해란?

백일해는 백일동안 기침이 난다는 뜻을 가진 질환으로 증상이 지속되는 기간이 1-2달 가량 긴 것이 특징이며 특히 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들에게 치명적인 질환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빨간색 바이러스 세포 덩어리와 STOP이 적힌 손바닥

백일해 감염경로

백일해는 주로 비말(침)을 통한 호흡기로 전염이 되고 약 7일-10일 정도의 잠복기가 있어요. 이 백일해는 감염되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무증상인 경우도 있고 증상이 없더라도 전염은 똑같이 되기 때문에 전파력이 상당히 높다고 해요.

예방을 위해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을 깨끗이 씻는 등의 개인위생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해요.

3명의 아이들이 가까이 모여서 이야기 나누는 모습

백일해와 감기의 차이

일반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고 백일해는 세균(백일해균)에 의해 감염되는 병이라는 차이점이 있지만 백일해 초기 증상은 감기와 같이 콧물, 기침, 미열의 증상이 나타나고 1-2주가 지나 점점 증상이 심해지며 정말 심한 발작적인 기침과 함께 구토, 호흡곤란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에요.

그래서 의사도 증상만으로는 감기인지 백일해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고 해요.

백일해 백신 접종 주기

백일해는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아이들의 경우 기본으로 접종 하게 되는 항목 중 하나인데요. 백일해 접종 백신만 따로 맞는 게 아니라 DTaP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아기수첩을 확인해 DTaP 접종을 했다면 백일해 접종을 한 것 이에요.

백일해는 기본적으로 생후 2,4,6개월에 기본 접종을 하고 생후 15개월-18개월, 4-6세, 11세-12세 때 추가 접종을 실시하게 돼요. 그리고 이후 매 10년 마다 추가 접종을 권하고 있어요.

임산부의 경우 아기 출산 2-3주 전에 미리 백일해 백신을 맞아두면 아이에게도 면역이 생겨서 생후 2개월 때 첫 접종 하기 전까지 도움이 되니 임산부라면 꼭 접종을 하시길 바래요.

접종을 위해 준비해둔 백신과 주사기

백일해 치료방법

백일해는 세균에 의한 감염이므로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하고 항생제 치료 이후 5일까지 격리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백일해 접종 유무 확인방법

백일해 접종을 했는지 확인 하는 방법은 질병관리청에서 운영하는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로그인 후 확인 가능합니다. 엄마 본인 접종 유무는 물론 아이 주민번호를 입력하면 아이 백일해 접종 유무까지 확인이 가능해요.

백일해 기침에 좋은 음식

앞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백일해와 감기는 초기에 구분하기가 어렵답니다. 하지만 두 가지 증상의 구분은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 필요한 부분이고 기침이 난다는 공통적인 증상은 같습니다. 기침 증상이 나타날 때 기침을 완화해주는 음식들을 먹으면 조금 도움이 되는데요.

얼마 전 목이 간질 간질 하며 기침이 심하게 나는 감기를 앓으면서 따뜻 보다는 뜨끈한 정도의 물을 자주 마셨는데 기침이 가라앉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감기 걸렸을 때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라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사실 크게 와닿지 않았는데 이번에 직접 증상이 덜해지는 걸 경험하면서 왜 그런 말들을 하는지 느끼게 되었답니다.

아래에 기침 멎는 음료 만드는 영상 하나를 공유해두었어요^^

3:00분부터 음료 만드는 방법이 나오니 참고해보시면 도움 되실 거예요.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아이 열 날 때 알고 있으면 든든한 정보

연관된 글

댓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최신글